카테고리 없음

장서인 감상

둔굴재 2012. 1. 21. 11:36

 

         장서인 감상

                    김수증의 <곡운집>

 

 광산후인(光山後人). 김치상보(金致祥甫). 성응가장(聖應家藏). 긍구당전가보(肯構堂傳家寶)

 

 

 

                      김상용(1561~1637)의 <선원유고>

 

 

                            조롱박 모양 장서인은 백운산(白雲山)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조롱박은 호로병인데 호로(葫蘆)는 덩굴식물로 무성하게 뻗어 올라간다.  이호로는 물을 넣거나 물건을 담는 용기로로 사용하며 여행자가 술병으로도 쓰인다. 전설에 의하면 신선이 요괴를 잡아가두는 기구이며. 단약(丹藥)을 담는 용기이며 보물을 감추는 신성한 물건이다. 일반적으로 뿌리와 줄기가 멀리 뻗어나가는데다가 줄기에 열매가 줄줄이 달리기 때문에 자손이 번성하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이 장서인은 만대장춘(萬代長春)으로 자손이 번성하여 만대에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안동(安東), 김리인(金履仁), 성거(聖居)

                       

                    군자지풍(君子之風). 48*48mm

 

                     급고각의 <십삼경주소>

 

 

 

 

                        부(富)자는1.2*1,2Cm.  동파문자로 관란헌(觀瀾軒) 1.6*1.6Cm

 

                     당송팔대가문초. 필사본.

 

주문인 3.8*3.8 Cm

 

                      필사의 아름다움을 감상하세요.

 

                     통감절요

 

 

배승환(裵昇煥); 독립운동가.

 

                                흥해(興海)

 

                      이민환(1573~1649)의 <자암집>. 1741년

 

 

 금산(金山). 최서림(崔瑞霖). 래여(來汝)


                        의성 다정재사(茶井齋舍)  개간 신유(1741) 4월  일. 

 

 

 의성 산운의 자암 종가의 다정재(茶井齋)가 있던 터(노송이 있는 자리)와 다정(茶井).  처마가 조금 보이는 왼쪽 건물은 옛날에 서당터였다고 한다.작은 도서관 김종우 관장과 문화유산해설사 박금숙 여사와 같이 답사하였다. 담 너머로 금성산이 보인다. (2012. 6. 23)

 

 

                       서성구(1663~1735)의 <눌헌집>. 1898년

 

 

 

 

 

                      <소학언해>

                                                

                                         <노걸대> 1944년.  조선총독부도서지인, 경성제국대학도서장, 상고(廂庫), 용산공립중학교 도서인.

 

 

                                    <노걸대> 시강원,

 

                                                       용산공립중학교도서인(龍山公立中學校圖書印)

 

                                                  <삼국유사> 1929년.  대도부도서관지인(大都府圖書館之印).

 

 

                             <朝鮮の國名に因める名詞考> 1940년.  

 

                                   판권소유조선총독부중추원(版權所有朝鮮總督府中樞院), 대구부립도서관(大邱府立圖書館).

 

                                                                                                                           도랑굴원 둔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