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장서가(藏書家)와 장서실(藏書室)
청말의 4대장서가로 첫번째는강소성 상숙현에 있는 구소기(瞿紹基) 철금동검루이다. 다음은 산동성 용성현에 있는 양이증(楊以增)의 해원각, 항주의에 있는 정병(丁丙)의 팔천권루, 절강성 귀안현에 있는 육심원(陸心源)의 벽송루이다.
송렴(宋濂)의 청라산방(靑蘿山房), 엽성(葉盛)의 록죽당(菉竹堂), 풍방(豊坊)의 만권루(萬卷樓), 범흠(范欽)의 천일각(天一閣), 전곡(錢穀)의 현성실(懸성室), 모곤(茅坤)의 백화루(白華樓), 범대철(范大澈)의 와운산방(臥雲山坊), 항씨(項氏)의 천뢰각(天籟閣), 만권루(萬卷樓), 왕세정(王世貞)의 소유관(小酉館), 고렴(高濂)의 묘상루(妙賞樓), 기승업(祁承업)의 담생당(澹生堂), 서발(徐발)의 홍우루(紅雨樓), 전겸익(錢謙益)의 강운루(降雲樓), 모진(毛晉)의 급고각(汲古閣), 조용(曹溶)의 정척당(靜惕堂), 황우직(黃虞稷)의 천경당(千頃堂), 전증(錢曾)의 술고당(述古堂), 주이존(朱彛尊)의 폭서정(曝書亭), 서건학(徐乾學)의 전시루(傳是樓), 왕사진(王士禛)의 지북서고(池北書庫), 조인(曹寅)의 련정(楝亭), 오탁(吳탁)의 병화재(甁花齋), 마씨(馬氏)의 소령롱산관(小玲瓏山館), 조씨(趙氏)의 소산당(小山堂), 항세준(杭世駿)의 도고당(道古堂), 노문소(盧文소)의 포경당(抱經堂), 노지(盧址)의 포경루(抱經樓), 왕계숙(汪啓淑)의 개만루(開萬樓), 포정박(鮑廷博)의 지부족재(知不足齋), 이문조(李文藻)의 죽서서옥(竹西書屋), 오건(吳騫)의 배경루(拜經樓), 오습봉(吳습鳳)의 고환당(古歡堂), 진단(陳단)의 (向山閣), 손성연(孫星衍, 1753~1818)의 평진관(平津館), 황비열(黃丕烈)의 백송일전(百宋一廛), 왕사종(汪士鐘)의 예운서사(藝芸書舍), 구씨(瞿氏)의 철검동검루(鐵劍銅劍樓), 장금오(張金吾)의 애일정려(愛日精廬), 양씨(楊氏)의 해원각(海源閣), 욱송년(郁松年)의 의가당(宜稼堂), 막우지(莫友芝)의 영산초당(影山草堂), 방공혜(方功惠)의 벽임랑돤(碧琳琅館), 정(丁氏)의 팔천권루(八千卷樓), 육심원(陸心源)의 벽송루(皕宋樓), 양수경(楊守敬)의 관해당(觀海堂), 륙전손(륙筌孫)의 예풍당(藝風堂), 엽창치(葉昌熾)의 치장실(治廧室), 이성탁(李盛鐸)의 목서헌(木犀軒), 엽덕휘(葉德輝)의 관고당(觀古堂), 장옥(章옥)의 사당재(四堂齋), 서내창(徐乃昌)의 적학재(積學齋), 장여조(蔣汝藻)의 전서당(傳書堂), 유승간(劉承幹)의 가업당(嘉業堂), 원극문(袁克文)의 벽송서장(皕宋書藏), 명제번(明諸藩), 청종실(淸宗室).
명청저명장서가와 장서인, 일본장서인감.
銅章 <주력원 도서기> 3.2*6.8*3.5cm. 둔굴재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