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만권의 책을 읽고 만리의 길을 걸어간다.
<손자병법>죽간 108*23 cm. 113개.
<손자병법> 죽간 108*23 cm. 113개.
<은작산 한묘죽간집수>
<손자병법> 린이 은작산 출토 재현간독.
<손빈병법> 린이 은작산 출토 재현품.
<손자병법> 출토재현품.
<은작산한묘죽간박물관>. 중국 린이(臨沂).
린이(臨沂)는 중국 산동성 이허강(沂河) 서쪽에 있는 도시이다. 옛 이름은 낭야(琅琊)였으며 노(魯)나라의 땅이었다. 자로(子路), 순자(荀子)의 고향이며, 증자(曾子)의 고향으로 증자의 아버지 증삼(曾參)이 공자의 가르침을 받던 한가한 봄날 “늦은 봄에 봄옷이 만들어지면 관을 쓴 벗 대여섯 명과 아이들 예닐곱 명을 데리고 기수에 가서 목욕하고 기우제 드리는 곳에서 바람을 쏘인 뒤에 노래하면서 돌아오겠습니다. (暮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 라고 자신의 뜻을 밝힌 곳이다.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싶어하던 그 기수이다.(浴乎沂) 의성의 ‘점곡(點谷)’과 ‘기천(沂川)’, ‘영귀정(詠歸亭)’이 여기에서 연유한다.
1972년 인췌산(銀雀山)의 전한시대 묘에서 진·한대(秦漢代) 죽간(竹簡) 병법서 <손자병법>. <손빈병법>. <울료자(蔚繚子)>. <육도(六韜)>등이 발견되었다.
<손자병법의 탄생>. 웨난(岳男). 2011. 이 책을 읽고 도산 김홍일과 은작산 한묘 죽간박물관까지 찾아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