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본의 장서가(藏書家)와 장서실(藏書室)

둔굴재 2015. 2. 18. 11:52

 일본 강호시대의 유명한 장서가로 목촌공공(木村孔恭, 1736~1802)의 자는 세숙(世肅)이며 호는 손재(遜齋)이다. 유학과 본초학에 정통하였으며 글씨와 그림을 잘 그렸으며 박학다식하였다. 장서가 12만권에 이르렀으며 장서실로 겸가당(蒹葭堂)이 있다.

  모리고표(毛利高標, 1755~1801)의 자는 배송(培松)이며 2만석의 구주좌백번으로 제8대 번주이다. 장서가 8만권이었으며 장서실명은 좌백문고(佐伯文庫)이다. 그의 장서는 궁내청, 내각문고, 대분현립도서관, 좌백시도서관에 분산되었다. 

  시교장소(市橋長昭, 1773~1814)의 호는 격재(格齋). 근강국 포생군 서대로의 번주로 식읍이 1만 8천석이다. 고서판본감정에 정밀하였으며, 장서실명은 은 황설서옥(黃雪書屋)이다.

 

  길전의암(吉田意庵, 1558~1610)의 칭의관(稱意館), 도쿠가와 이에야쓰(德川家康)의 시의(侍醫) 곡직뢰정림(曲直瀨正琳, 1565~1611)의 양안원(養安院), 오와리 번조(尾張蕃祖)  도쿠가와 요시나오(德川義直)의 호사문고(蓬左文庫), 임라산(林羅山)의 3자 임서(林恕, 1618~1680)의 향양헌(向陽軒), 내등뢰장(內藤賴長, 1619~1685)의 독고(牘庫), 소야절(小野節, 1620~1688), 송평충방(松平忠房, 1623~1700), 임라산의 4자 임정(林靖, 1624~1661)의 경독재(耕讀齋), 가등천음(加藤千陰, 1735~1808), 목촌공공(木村孔恭, 1736~1802)의 겸가당(蒹葭堂), 촌정경의(村井敬義, 1741~1786)의 권사당(勸思堂), 다치하라 스이켄(立原翠軒, 1744~1823)의 차군당(此君堂), 희곡시인 오타담(大田覃, 1749~1823)의 남묘문고(南畝文庫), 이치가와 간사이(市河寬齋, 1749~1820)의 초죽원(蕉竹院), 북천진안(北川眞顔, 1753~1839)의 광가당문고(狂歌堂文庫), 나가카와 다다테루(中川忠英, 1754~1830), 다키 모토후미(多紀元簡, 1755~1810), 모리고표(毛利高標, 1755~1801)의 좌백문고(佐伯文庫), 송평정신(松平定信, 1758~1829)의 낙정문고(樂亭文庫), 백하문고(白河文庫), 상명문고(桑名文庫), 송포정산(松浦靜山, 1760~1841)의 낙세당(樂歲堂), 청류문장(靑柳文藏, 1761~1839)의 청류관문고(靑柳館文庫), 소궁산창수(小宮山昌秀, 1764~1840)의 풍헌(楓軒), 임형(林衡, 1768~1841)의 술재(述齋), 죽촌무웅(죽촌무옹, 1769~1844)의 이두국수향옥(伊豆國穗向屋), 후목강태(朽木綱泰, 1769~1852)의 후목문고(朽木文庫), 시교장소(市橋長昭, 1773~1814)의 황설서옥(黃雪書屋), 본다충헌(本多忠憲, 1774~1823)의 계추재(桂秋齋), 평전독윤(平田篤胤, 1776~1843)의 진관지옥(眞菅之屋), 석정지곡(石井至穀, 1778~1859)의 옥천문고(玉川文庫), 석총풍개자(石塚豊芥子)의 석총문고(石塚文庫)와 집고당(集古堂), 전택종백(田澤宗伯, 1781~1850)의 함기당문고(函碕堂文庫), 족대홍훈(足代弘訓, 1784~1856), 다기원견(多紀元堅, 1786~1857), 다기원윤(多紀元胤 1789~1827), 방성가(坊城家)의 소천방성고(小川坊城庫), 반직방(伴直方, 1790~1842)의 반문고(伴文庫), 미즈노 타다쿠니(水野忠邦, 1794~1851)의 인마문고(引馬文庫), 동조신경(東條信耕, 1795~1878)의 소엽산방(掃葉山房), 가등창(加藤昶, 1795~1875)의 작암문고(雀菴文庫), 장도위신(長島尉信, 1798~1867)의 욱자원(郁子園), 미쓰비시 그룹의 이와사키 야(岩崎彌)의 정가당(靜嘉堂), 소사광로(小寺廣路, 1800~1878)의 옥조문고(玉晁文庫), 식물학자 이토 케이스케이(伊藤圭介, 1803~1901), 석천첩취헌(石川疊翠軒, 1804~1841)의 첨취헌(疊翠軒), 대교정순(大橋正順, 1806~1862)의 눌암(訥庵), 판창승명(板倉勝明, 1809~1857)의 감우정(甘雨亭), 죽천정반(竹川政胖, 1809~?)의 사화문고(射和文庫), 미즈노 타다나가(水野忠央, 1814~1865)의 단학문고(丹鶴文庫), 장야주선(長野主膳, 1815~1862)의 도내사(桃乃舍), 암본각(岩本覺, 1817~1866)의 달마옥(達磨屋), 북천정무(北川政武, 1823~1859)의 귤원(橘園), 오궁구문(五弓久文, 1823~1886), 향산영(向山榮, 1826~1897)의 향황촌(向黃邨), 소삼온촌(小杉榲邨, 1834~1910)의 삼원(杉園), 동경국립박물관 초대관장 마치다 히사나리(町田久成, 1838~1897)의 석곡장서(石谷藏書), 대곡목계순(大谷木季純, 1838~1897)의 대곡목문고(大谷木文庫), 선석정고(仙石政固, 1843~1917)의 만취루(晩翠樓), 금천웅작(今川雄作, 1850~1931)의 무애암(无礙庵), 식물학자 시라이 고타로(白井光太郞, 1863~1932), 도히(土肥慶藏, 1866~1931)의 악헌문고(鶚軒文庫),

 

<정가당문고한적분류목록> 1930년. 모로하시 데츠지(諸橋轍次). 둔굴재 소장.  


 

           일본판본 <맹자> 1880년.


             일본판본  <주자소학>


               일본판본 <역학계몽>의 양의생사상(兩儀生四象)


               일본판본 <역학계몽>의 복희 64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