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3

최고의 문상[問喪]은 침묵이다.

처음 죽었을 때는 물을 입에 대지 않으며 사흘 동안 곡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석 달 동안 허리띠를 풀지 않고 1년(期年)이 되도록 슬퍼하고 3년이 되어 근심하는 것은 은정(恩情)의 감쇄(減殺)이다. 세월이 흘러감에 정이 줄어드는 것이다. 상이 3년을 넘지 않으며 저마의 최복이 해져도 깁지 않으며, 무덤에 흙을 더하지 않으며, 대상 날에는 장식하지 않은 거문고를 타는 것은 백성에게 복상의 슬픔이 끝남이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상기가 많아도 3년을 넘지 않는 것은 예를 절도에 맞춘 것이다. 부모의 초상에는 슬픔이 지나쳐서 몸이 수척해져도 죽음으로 삶을 상하게 하지는 않는다. 초상이 아무리 중요하더라도 사람의 삶을 훼손한다면 이는 하지 않음만 못하다. 오복은 은정의 경중에 바탕을 두고 있다. 아버지의 은..

카테고리 없음 2024.02.18

둔굴재 고서목록

順位 書 名 編 著 者 板 本 刊行年度 冊 數 備 考 The living Reed 펄벅 洋裝本 1963 1冊 嘉禮都監儀軌 影印本 1咸 1軸 국립박물관문화재단 佳人之奇遇 柴四朗(日) 木活字本 [刊年未詳] 5冊 可畦先生文集 趙 翊 著 木活字本 [刊年未詳] 10卷 5冊 覺菴先生文集 全有慶 著 木活字本 1924 3卷 1冊 簡牘會粹 編著者未詳 木板本 [刊年未詳] 1冊 艮齋私稿 田 愚 著 鉛活字本 1926 59卷 30冊 四川 龍山亭 江陵靑衿錄續 崔寅洵 編 石版本 1930 1冊 京城 文一堂印刷所 江陵崔氏派譜 崔允演 編 목활자본 1912 2冊 壬子孟夏 玉泉新刊 江陵鄕校實記 瀧澤誠 編 연활자본 1933 1책 江陵鄕賢祠行錄 朴元東 編 석판본 1931 1책 剛窩先生文集 任必大 著 木板本 [刊年未詳] 8卷 4冊 江左先生文集 ..

카테고리 없음 2024.02.18

‘설’은 나라 없는 서러움이다.

정월 초하루를 설날이라 하고, 2월 초하룻날도 역시 설날이라 하여 민간에서는 집안 밖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영등할머니가 나오신다고 집집마다 굿을 하거나 치성을 드렸다. 모든 초하루는 설이었는지도 모른다. 『논어』에서도 매달의 첫날을 ‘길월(吉月)’이라 하여 “초하룻날에는 반드시 조복을 입고 임금의 조회에 참석하였다”하였다. 지금도 중요한 일은 초하루에 하는 것도 그 전통일 것이다. 1924년 발표한 윤극영 선생의 동요는 “까치 까치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설날은 오늘이래요. 곱고 고운 댕기도 내가 드리고 새로 사온 신발도 내가 신어요.” 여기서 까치설날은 일본이 강요한 양력설이고 우리설날은 전통적으로 지내 온 음력설이었다. 까치설날은 싫다는 이야기도 못하고, 고운 댕기와 새 신발을 기다리는 것은 우리 설..

카테고리 없음 202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