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파시초(蓮坡詩鈔) 연파시초(蓮坡詩鈔) 조선 후기의 학자 김진수(金進洙)의 시집. 상·하 2권 2책. 석인본. 1868년(고종 5) 아들 동필(東弼)이 편집, 1928년 손자 돈희(敦熙)가 직접 손으로 써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청나라사람으로 공자의 73대손 공헌이(孔憲彛)의 서문, 권말에 아들 동필과 손자 돈희의 발문.. 카테고리 없음 2014.07.08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고려시대 사경본 고려시대의 감지에 은니로로 사경한 <묘법연화경> 제 3권 7의 부분입니다. 고려시대 사경을 친견할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권자본으로 완전하지 않고 세 부분만이 남아 있다. 감지에 은분으로 사경하였으며 글씨 바르고 단정한 것이 정성이 느껴집니다.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카테고리 없음 2014.01.26
광서성 영복요지 답사 광서성(廣西省) 영복요지(永福窯址) 답사 오늘은 각자 자유시간으로 하였다. 팔금산을 발굴 단장으로 하여 도산과 함께 영복요지를 찾아나섰다. 2013년 10월 13일의 광서성 계림의 날씨는 약 30여도로 조금 더웠다. 택시를 잡아타고 기릉 찾았지만 중국인 택시 기사는 이 길을 가본 사람이 .. 카테고리 없음 2014.01.02
꾸르안(코란) 책 수집에서 꾸르안(코란) 한 권을 수집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었다. 꾸르안은 비이슬람인은 소지 할 수가 없다 한다. 아마도 경전을 소홀히 할까봐 그러는 것으로 짐작이 된다. 그래선지 더욱 조심스럽다. 그리고 한글로나 영어로 번역 된 것은 꾸르안이 아니라고 한다. 원래의 의미를 훼.. 카테고리 없음 2013.12.26
납서족(納西族)의 동파문(東巴文) 중국 운남성 서북부 려강(麗江)지역의 납서족들이 사용하는 동파문자 혹은은 납서문자라 불리는 상형문자이다. 납서족이 믿는 동파교(東巴敎)의 무사(巫師)들이 그들의 경전을 쓰는데 사용하였기 때문에 동파문자라 불린다. 동파문자의 발견은 1913년 프랑스의 J.B.Acot가 려강에서 수집한 .. 카테고리 없음 2013.12.24
고려지에 만다라 고려지에 만다라(曼茶羅) 고려지에 만다라. 직경 24Cm 만다라(Mandaia) 만다라는 기본적으로 우주를 상징한다. 즉 신들이 거처하는 신성한 장소이며 우주의 힘이 응집되는 장소이다. 만다라는 기본적으로 2종류가 있다. 하나에서 여럿을 향해 움직이는 태장계(胎藏界. garbha-dhātu)와 여럿에서.. 카테고리 없음 2013.12.24
동족(侗族)의 문자 동족(侗族)의 문자 일만개의 봉우리가 이어지는 귀양(貴陽)에서 안순(安順)를 거쳐 황가수 폭포를 구경하고 이층버스를 타고 가는 여행길에 초생달 곁에 개밥바라기 별이 짝을 이루어 나그네를 안내하고 있었다. 기리(飢里)에 밤 10시에 도착하여 나그네는 <고가주제주점(古歌主題.. 카테고리 없음 2013.10.28
수에이족(水族)의 수에이슈(水書) 수에이족(水族)의 수에이슈(水書) 중국에는 참 희한한 일도 많이 있다. 문자의 발생에서도 새의 발자국을 보고 만든 문자가 있고, 수에이족처럼 물의 흐름을 보고 수에이슈를 만든 민족도 있다. 처음 수서를 보고 팔금산하고 수서각(水書閣)이라는 가게를 두번이나 들러서 배워보고 도서.. 카테고리 없음 2013.10.28
막우지(莫友芝)와 영산초당(影山草堂) 막우지(莫友芝)와 영산초당(影山草堂) • 막우지(莫友芝. 1811~1871) 자는 자시(子偲), 호는 여정(郘亭), 액수(眲叟)로 귀주 독산인이다. 1831년 향시에 합격하였으며 이후 여러 번 과거에 응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여 증국번(曾國藩. 1811~1872)의 막부에 들어가 증국번을 대신하.. 카테고리 없음 2013.09.02